
해시(Hash)/해시 함수(Hash Function)/해싱(Hashing)? 해시(Hash) 란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 중 하나이며,해시 함수(Hash Function) 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. 매핑전 원래 데이터의 값을 키(key), 매핑 후 데이터의 값을 해시값(Hash Value) 또는 해시코드 라고 하며, 키(key)와 값(value)으로 매핑되는 과정 자체를 해싱(Hashing) 이라고 한다. 해시 테이블(Hash Table)? 해시 테이블(Hash Table) 은 키(key)와 값(value)이 하나의 쌍을 이루는 데이터 구조이다. 즉, 키(key)와 배열의 인덱스(index)를 이용하여 키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...

Chaining Hash Table /*Chaining HashTable*/ class ChainingHashTable { public static final int TABLE_SIZE = 10; private HashItems[] hashTable; //생성자 public ChainingHashTable() { this.hashTable = new HashItems[TABLE_SIZE]; } //hash code int getHashCode(String key) { int hashCode = 0; for (char c : key.toCharArray()) hashCode += c; return hashCode; } //hash code를 index private int convertToIndex(int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WExpert
- algorithm
- 사회망서비스
- 프로그래머스
- loss function
- N-Queen
- Android
- hashtable
- git
- 백 트래킹
- 프로세스 스케줄링
- MFQ
- 4-way-handshake
- java
- 3-way-handshake
- 알고리즘
- binarySearch
- 농협정보시스템IT
- hash
- Process Scheduling
- programmers
- DFS
- 우선순위큐
- 백트래킹
- 기능개발
- SRTN
- 네트워크
- Objective function
- MLQ
- 자료구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