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ingleton 싱글톤이란? 특정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를 최초 단 한 번만 static 메모리에 할당하고 해당 클래스에 대한 생성자를 여러번 호출하더라도 실제로 생성된 객체는 하나이고 최초에 생성한 객체를 반환하는 디자인 패턴이다. (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해서 생성을 못하도록 하고 getInstance()로 객체를 받아서 사용한다. ) 즉,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클래스에 대한 유일 객체를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. 싱글톤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 싱글톤 패턴이 적용된 클래스에 대한 new 연산을 수행하더라도 이미 한 번 할당된 메모리 영역의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. Static 객체이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의 객체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기 쉽다. 한 번 객체를 생성하면..
JAVA : Interface 인터페이스 란? 인터페이스는 구현은 하지않고 모드 기능을 추상화로 정의한 상태 즉, 모든 메소드의 선언만 정의한 추상메서드의 모음이다. 인터페이스는 상수(final) 변수와 추상 메서드만 가질 수 있다. 인터페이스는 구현과 상속을 둘 다 할 수 있다. 인터페이스 사이에는 상속을 할 수 있다. (다중 상속가능) 인터페이스를 implements하는 클래스는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한다. 인터페이스 역할 자식클래스에서 상속받아 사용되므로 다형성 (공통적인 부분을 추상화했기 때문에 ) 개발자 사이의 코드 규약이 될 수 있다. 프로그램 유지보수성 쉽게 말하자면 같은 목적 하에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하기 위해서 강제로 같은 기능의 함수를 정의하여 구현하게 하는 것이다. 인터페이스를 사..

String vs StringBuffer/StringBuilder String 과 StringBuffer/StringBuilder의 가장 큰 차이점은 String은 불변, StringBufferStringBuilder는 가변하다. String String은 한 번 값이 생성되면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다. 즉, Immutable (불변)하다고 한다. immutable 가장 큰 장점은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다. (변경할 수 없는 객체니까!) toUpperCase(), trim()과 같은 메소드를 가지고 있어서 변경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 해당 메소드들을 수행할 때 또 다른 String 객체를 생성하여 리턴하는 것이다. String클래스의 참조변수 str에 "hello"값을 넣은 후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loss function
- N-Queen
- 알고리즘
- programmers
- SWExpert
- 자료구조
- SRTN
- Process Scheduling
- 네트워크
- 백 트래킹
- MLQ
- 3-way-handshake
- hash
- Objective function
- java
- 프로그래머스
- hashtable
- 우선순위큐
- 농협정보시스템IT
- binarySearch
- algorithm
- 백트래킹
- 프로세스 스케줄링
- Android
- 기능개발
- MFQ
- 4-way-handshake
- DFS
- 사회망서비스
- gi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30 | 31 |